“나를 따르라”는 부르심에 담긴 복음의 본질
예수님께서 공생애 중 제자를 부르시던 장면 중, 우리에게 가장 놀랍고도 은혜롭게 다가오는 한 인물이 있다. 바로 ‘세리 마태’이다.
마태복음 9장 9–13절에서 예수님은 사회적으로 배척받고 멸시당하던 세리 마태에게 이렇게 말씀하신다:
“나를 따르라.”
단 한 마디였다.
하지만 마태는 즉시 일어나 예수님을 따랐다.
그리고 이 짧은 구절 속에는, 복음의 깊이, 하나님의 시선, 인간의 갈망, 그리고 놀라운 은혜의 부르심이 담겨 있다.
1. 세리 마태는 왜 버림받았는가?
마태는 ‘세리’였다. 당시 유대 사회에서 세리는 로마 제국에 고용된 민족의 배신자, 부정한 탐욕의 상징, 종교적으로는 부정한 자로 여겨졌고, 회당 출입도 불가했다.
그들은 법적으로는 자유인이었지만, 사회적·영적 공동체에서 철저히 고립된 존재였다.
그러나 마태가 단순히 부유한 탐욕가였을까?
그가 예수님의 한 마디에 즉시 반응했다는 것은, 그의 마음 속에 이미 오랫동안 누적된 갈망과 고통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 그는 유대인이었기에 하나님을 알았고,
- 율법도, 구원도 알고 있었지만,
- 어느 순간부터 그 모든 것에서 멀어졌다.
그런데도 그는 죄책감과 외로움, 그리고 다시 회복되고 싶다는 소망을 마음에 품고 있었을 것이다.
그는 잊혀진 사람이었지만, 자신도 하나님께 돌아가고 싶다는 갈망의 불씨를 간직하고 있었던 것이다.
2. 예수님의 시선은 다르다
예수님은 마태를 보셨다. 단지 ‘세리’라는 신분이 아니라, 한 사람으로서의 마태의 존재 전체를 보셨다.
“예수께서 마태라는 사람이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마 9:9)
예수님은 세상의 시선이 멸시하는 사람을 존귀하게 보시는 분이시다.
그분은 마태의 직업을 보신 것이 아니라, 그 마음 깊은 곳에 잠든 영혼의 갈망을 보신 것이다.
그분의 “나를 따르라”는 한 마디는 단지 명령이 아니라 초대요, 치유이며, 새로운 삶의 시작이었다.
3. 마태의 반응 – 즉시 일어나 따르다
놀라운 것은 마태가 즉시 일어났다는 점이다.
그는 계산하거나 주저하지 않았다.
그가 그렇게 빠르게 반응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 부르심을 오랫동안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영혼이 예수님께로 달려간 반사적 고백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 마태는 예수님의 제자가 되었고, 나아가 마태복음의 기록자가 되었다.
👉 세상에 가장 버림받은 자가, 복음의 첫 장을 쓴 사람이 된 것이다.
4. 예수님의 식사 – 죄인을 부르시는 은혜
마태가 예수님과의 식사를 베풀었을 때, 그 자리에 ‘세리와 죄인들’이 함께했다.
이는 당시 관습으로 볼 때 상상도 할 수 없는 장면이었다.
“어찌하여 너희 선생은 세리들과 죄인들과 함께 잡수시느냐?” (마 9:11)
이에 대해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건강한 자에게는 의사가 쓸 데 없고 병든 자에게라야 쓸 데 있느니라.” (마 9:12)
이 말씀은 곧 복음의 핵심이다.
예수님은 자격 있는 자를 부르신 것이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자를 위해 오신 분이라는 것.
그리고 예수님은 호세아서를 인용하시며 말씀하신다:
“나는 긍휼을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호 6:6, 마 9:13)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은 종교적 형식이 아니라, 상한 심령과 낮은 마음, 진실한 회개와 사랑이다.
5. 마태의 갈망 – 마음의 목마름이 있었던 사람
비록 본문은 마태의 내면을 자세히 말하지 않지만,
우리는 그 반응과 변화된 삶을 통해 마태의 갈망이 얼마나 간절했는지를 알 수 있다.
- 외로움과 수치 속에서도 그는 누군가 자신을 다시 불러주길 바라고 있었고,
- 예수님의 한 마디에 그는 자신의 모든 과거를 내려놓을 만큼 준비되어 있었고,
- 그 후 그는 예수님을 위해 복음을 기록하는 삶을 살았다.
마태는 이미 주님을 갈망하고 있었고, 그 갈망은 예수님 안에서 완성되었다.
6. 어떻게 하면 우리도 예수님을 갈망할 수 있을까?
오늘날 많은 이들이 예수님을 향한 갈망이 식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예수님은 여전히 우리 마음에 말씀하신다:
“목마른 자는 내게로 와서 마시라.” (요 7:37)
예수님을 갈망하는 마음은, 우리 안에서 자연스럽게 솟아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다.
하지만 우리가 그 은혜를 사모할 수 있는 길은 열려 있다:
1) 자신의 결핍을 인정하자
예수님은 심령이 가난한 자에게 오신다.
자신의 부족함, 상처, 허전함을 인정할 때 우리는 그분을 구하게 된다.
2) 말씀 안에서 예수님을 만나자
성경은 예수님을 가장 잘 드러내는 창이다.
복음을 묵상하고, 예수님의 행적을 따라갈 때 마음이 살아난다.
3) 갈망이 없을 때도 기도하자
“주님, 저도 주님을 더 갈망하고 싶어요” 이 기도는 예수님을 움직이게 하는 정직한 기도다.
4) 세상의 소음을 줄이자
너무 많은 자극과 바쁨 속에 영혼은 갈증을 잊는다.
예수님을 향한 마음은 조용하고 깊은 자리에서 회복된다.
5) 다른 이들의 간증을 들으며 마음에 불을 지피자
다른 사람의 만남이, 내 갈망의 불씨가 될 수 있다.
7. 오늘 우리에게도 “나를 따르라” 하시는 예수님
마태의 부르심은 2천 년 전의 사건이지만,
그 음성은 지금 이 순간, 우리의 마음에도 들리고 있다.
“나를 따르라.”
주님은 여전히 자격이 아니라, 중심을 보시는 분이시다.
낮은 마음, 가난한 심령, 상한 영혼을 찾으신다.
그리고 이렇게 말씀하신다:
“내가 너를 알고 있다.
네가 얼마나 외로웠는지,
얼마나 스스로를 미워했는지,
얼마나 다시 시작하고 싶었는지…
나는 안다.
그러니, 나를 따르라.”
그 마음속에 미세하게라도 예수님을 향한 그리움과 갈망이 있다면,
그건 예수님이 이미 당신 안에서 부르심을 시작하셨다는 증거이다.
오늘, 그 부르심 앞에 마태처럼 일어나보자.
그리고 예수님과 함께 걷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자.
그분은 지금도, 우리를 잊지 않고 부르고 계시다.
'구약 신약 인물로 보는 성경 (이용원 저 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베대의 아들들, 형제 제자로 부름받은 이유와 의미 (1) | 2025.04.23 |
---|---|
세베대의 아들들, 예수님 곁에 가장 가까이 있던 제자들 (0) | 2025.04.23 |
요한복음 9장 – 날 때부터 맹인된 자와 영적 소경의 역설 (0) | 2025.04.14 |
가룟 유다는 왜 예수님을 배신했을까 – 단순한 배신이 아닌, 복합적 신학적 비극 (2) | 2025.04.14 |
아비가일 : 지혜로 분노를 이긴 여인, 성경 속 진정한 리더십의 얼굴 (0) | 2025.04.09 |